본문 바로가기

인테리어/인테리어 용어

창호이야기_①창호의 기능과 소재를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더 플레이트입니다. 창은 우리가 머무는 곳 대부분에 함께하고 있으며 채광, 환기 조망 등의 기능을 하는 없으면 안 되는 것 중에 한 가지입니다. 이 글에서는 창에 끼워지는 창호의 기능과 소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창호란?

실내 환기나 채광을 위한 창, 또는 문으로 건물의 실내와 실외를 구분하기도 합니다. 창호(샷시)는 기능에 있어서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기도 하고, 투명한 창문은 건물 외관의 이미지를 결정짓는 중요한 구성요소 중에 하나이기 때문에 용도에 맞게 잘 선택해야 합니다.

 

 

2. 창호의 5대 성능

창호의 5대 성능은 단열성, 기밀성, 차음성, 수밀성, 내풍압성이 있습니다.

 

 

1. 단열성

: 창호를 통한 열 손실을 막는 기능

 

2. 기밀성

: 창 틈새의 공기 이동을 막는 기능

 

3. 차음성

: 외부의 소음이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막는 기능

 

4. 수밀성

: 물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기능

 

5. 내풍압성

: 바람에 견디는 정도로 태풍에도 견딜 수 있는 기능

 

 

 이렇게 5가지의 성능이 있지만, 그 중에서도 꼭 따져봐야 할 성능들이 있다면 단열성과 수밀성입니다. 내부의 열손실은 대략 30% 정도가 창호를 통한 열손실이므로 단열성을 생각한다면 열전도율이 낮은 재질의 창호로 선택해야 합니다. 수밀성은 빗물이나 눈 등 물이 실내로 스며들지 않으면서 결로수의 배출이 쉽게 되는 창호여야 합니다. 좋은 창호의 소재를 고르기 위해서는 어떤 소재들이 있는지 알아봐야겠죠?

 

 

3. 창호 소재 종류

1) WOOD(우드) : 지금 많이 쓰고 있는 플라스틱(PVC) 창호가 대중화되기 전에 많이 사용하던 창호입니다. 목재는 디자인이 우수하고 고급스러운 분위기로 연출 가능하지만 기후나 외부 요인들에 의하여 변형이나 뒤틀림, 파손 등의 변형이 올 수 있습니다.

 

 

 

 

@LX ZIN 공식 홈페이지

2) AL+WOOD(알우드) : 알우드라고 불리는 이 제품은 외부는 알루미늄(AL), 내부는 목재(WOOD)로 만든 창호입니다. 알우드 같은 경우는 창호 중에 고가 제품에 해당하며, 두 소재의 장점을 결합해서 단열성을 높이고, 디자인적으로도 우수한 창호입니다.

 

♣ AL+WOOD 창호의 종류 : 시스템창

♣ 추천 시공 장소 : 타운하우스, 고급 주택, 리조트, 클럽하우스 등

 

 

 

 

@오른쪽 이미지 LX ZIN 공식 홈페이지

3) AL(알루미늄) : 알루미늄 창호는 8~90년대 지어진 아파트에 많이 사용된 소재입니다. 알루미늄은 특성상 변색이 잘 되지 않고 튼튼하며, 디자인과 색상의 선택이 자유로운 소재입니다. 하지만 일반 알루미늄 창호의 경우 열전도율이 높아 단열이 많이 떨어져 요즘에는 창호 안에 특수 단열재가 들어가 있는 AL 시스템창 위주로 사용합니다. 단단하고 내구성이 뛰어난 AL 시스템창은 상업용 건물이나 고층건물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프레임이 얇고 창호의 형태와 개폐방식을 다양하게 디자인할 수 있어 크기가 크고 구조적인 시스템창이나 커튼월 같은 모던한 디자인 연출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AL창호의 종류 : 시스템창, 커튼월, 중문, 폴딩도어

♣ 추천 시공 장소 : 타운하우스, 전원주택, 고층건물, 상업공간

 

 

 

 

@LX ZIN 공식 홈페이지

4) PVC(플라스틱) : 현재 가장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창호의 소재입니다. 플라스틱 창호는 열전도율이 낮아 단열성이 뛰어나며 차음성능 또한 좋지만, 단점인 내구성이 약하여 플라스틱 창호는 내부에 보강재를 넣어서 사용합니다. 일반적으로 주거용 창호로 가장 많이 쓰이고 있으며, 내부에 철제 보강재를 넣기 때문에 뒤틀림과 변형이 없습니다.

 

♣ PVC창호의 종류 : 시스템창, 발코니창, 방창

♣ 추천 시공 장소 : 아파트, 빌라, 일반주택 등 거주공간

 

 

 

 

@현대 LNC 공식 홈페이지

5) AL+PVC(하이브리드) : 외부는 알루미늄(AL), 내부는 플라스틱(PVC)의 소재로 되어있는 창으로 각 소재의 장점들을 접목시켜 만든 창호이지만 대중적으로 사용되지는 않습니다.

 

 

 

 

6) CURTAIN WALL(커튼월) : 커튼월은 커튼처럼 공간을 나눈다는 의미로 붙여졌으며, 주로 상업용 건물의 외부 벽면에 사용되고, 대부분 알루미늄 소재로 만들어집니다. 

 

 

 

 

창호의 기능과 소재에 대해서 알아봤는데 도움이 되셨나요?

다음 포스팅에는 창의 위치 별 종류 선택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The plate